사이트 내 전체검색

17개 시·도 간 장애인복지수준, 소득·경제활동 지원이 차이 갈랐다 > 활동브리핑

본문 바로가기

이슈&활동

  • youtube
  • facebook
  • instagram
  • 네이버 포스트

17개 시·도 간 장애인복지수준, 소득·경제활동 지원이 차이 갈랐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국장총 작성일2020-12-01 16:24:01 조회2,179회 댓글0건

본문

- 한국장총, 2020년도 전국 시·도별 장애인 복지·교육수준 릴레이 심층분석-1

대전·제주 우수, 광주·대구 큰 폭 상승, 경기, 울산, 강원, 충남, 전남, 전북 분발 필요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이하 한국장총)은 매해 전국 시·도별 장애인 복지·교육 비교 연구를 통해 지역 간 장애인 복지격차 수준을 확인하고 이를 지역 간 정책 제언에 활용하고 있다. 지난 16() 올해 분석결과 발표 기자회견 이후 매주 분야별·지역별 심층 분석 자료를 릴레이 형식으로 연재한다.

 

2005년부터 시작된 이 연구는 2018년도부터 지자체장의 임기에 따라 지자체장 중간평가, 최종평가로 진행되며 복지분야의 지표 일부를 격년으로 취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복지분야 종합수준은 2년 간격으로 분석하였으며 이중 소득·경제활동 지표는 매해 조사가 진행되었다.

 

장애인복지 분야 종합수준 소폭 향상, 대전·제주 우수

장애인복지 분야 종합 수준은 17개 시·도의 평균 201746.77점에서 48.54점으로 소폭 향상되었다. 장애인 복지 분야 종합수준이 우수한 지자체는 대전과 제주로 조사되었다. 반면 울산, 경기, 강원, 충남, 전북, 전남은 분발이 필요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점수를 달성한 지역은 대전(71.65)이었으며 제주(62.31)와 함께 2017년 종합조사에 이어 연속으로 우수, 양호, 보통, 분발 영역 중 우수 등급에 속하였다. 광주광역시(12.1% 상승)와 대구(13.2% 상승)는 꾸준한 노력을 통해 양호등급에 속하게 되었다. 특히 광주광역시는 유일하게 복지분야와 교육분야 수준이 모두 향상한 유일한 곳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울(10.5% 하락)과 충남(16.8% 하락)은 한 등급씩 하락하였다

 

장애인복지 분야, ‘소득 및 경제활동 지원 영역이 지자체간 차이 갈랐다

장애인복지 분야 종합수준은 소득 및 경제활동 지원 영역’, ‘보건 및 자립지원 영역’, ‘복지서비스 지원 영역’, ‘이동(편의문화 여가 및 정보접근 영역’, ‘복지행정 및 예산 영역을 합하여 지자체 별 수준을 파악하였다. 이 가운데 소득 및 경제활동 지원 영역의 전국 평균점수는 63.71점으로 작년 조사(53.11) 대비 큰 폭으로 상승하였으며 모든 지자체의 점수가 향상되었다.

 

소득 및 경제활동 지원 영역 모든 지자체 상승, 수당 및 연금 지급액 천차만별

특히 대구, 제주, 세종은 우수 등급에 속하였고, 전남은 분발 수준에 그쳤으나 작년에 비해 수준이 향상하여 노력이 확인되었다. 35.0%에 달한 강원의 향상율이 가장 높았다. ‘소득 및 경제활동 지원 영역민간부문 장애인 고용율’, ‘장애인공무원 고용율’, ‘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비율’, ‘장애인자립자금 대여 비율’, ‘1인당 장애수당 및 연금 지급액’, ‘1인당 장애아동수당 지급액’, ‘직업재활시설 지원 예산 수준’, ‘직업재활시설 장애인이용자 비율8개의 세부지표로 조사되었다.

 

장애인 고용률, 민간부문은 오르는데 장애인공무원은 모든 지자체 하락

민간부문 장애인 고용률은 전년 대비 10.6%나 상승하며 고무적인 모습을 보였다. 경기, 충남, 경남을 제외한 모든 지자체가 향상하였으며 제주의 향상율이 가장 높았다. 반면 장애인공무원 고용률은 울산을 제외한 16개 시·도 모두 하락하였다. 울산은 3년 연속 상승한 반면 인천과 경기는 3년 연속 하락했다. 서울이 5.22%로 가장 높았고 강원도는 3.35%로 가장 낮았다. 특히 부산, 세종, 충남, 전북, 제주는 20%이상 씩 하락하여 모든 지자체의 절실한 노력이 요구된다.

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비율, 큰 폭 상승에도 1% 못 미쳐. 장애인자립자금 대여 비율 전국 평균은 고작 0.02%

한편 지방자치단체와 우선구매 공기업·공공기관의 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비율은 전국 평균 전년도 조사 비율(0.68%) 대비 45.6%나 상승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균 수준이 0.99%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은 59.9%나 급락했으며, 부산은 35.3% 상승하였다.

 

장애인자립자금 대여 비율의 전국 평균은 20170.03%, 20180.02%, 20190.02%로 전년과 동일한 수준을 보였다. 광주광역시는 3년 연속 상승한 반면 경기도는 3년간 하락하였다. 모든 지자체의 노력이 매우 필요하다.

 

1인당 장애수당 및 연금 지급액, 장애아동수당 지급액, ·도별 큰 격차 드러나

사회보장정보통계를 기준으로 조사한 ‘1인당 장애수당 및 연금 지급액의 전국 평균은 3,427,601원으로 나타났다. ‘소득 및 경제활동 지원 영역의 시·도별 차이를 가른 이 지표에서 가장 높은 경남은 4,278,438, 가장 낮은 경기는 2,336,597원으로 큰 폭의 차이를 나타냈다.

1인당 장애아동수당 지급액 수준 역시 가장 높은 경남(2,510,079)과 가장 낮은 경기 (1,18,479)의 큰 격차가 드러났다. 전국 평균 1,684,469원으로 나타났다.

 

직업재활시설, 지원 예산 수준과 장애인이용자 비율 모두 꾸준히 오름세

직업재활시설 지원 예산 수준 역시 지자체간 큰 폭의 차이를 보였다. 전국 평균 수준은 735,050원인데, 가장 높은 제주는 1,239,273, 가장 낮은 전남은 370,410원으로 나타났다. 직업재활시설 지원 예산 수준은 3년간 상승 추세로 나타났으며 작년(561,770)에 비해 30.8%나 상승한 각 지자체의 노력은 장애인이용자 비율 증가로 이어졌다.

직업재활시설 장애인이용자 비율 수준 역시 전년대비 상승하였고 3년간 상승 추세로 나타났다. 전국 평균 5.34%로 전년(4.78%)대비 11.8% 상승하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단체명 :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   주소 : (0723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22(여의도동) 이룸센터 4층
전화 : 02-783-0067   |   팩스 : 02-783-0069   |   이메일 : mail@kodaf.kr
Copyrightⓒ 2017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All Rights Reserved. Supported by 푸른아이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