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어
필수
인기 검색어
장애등급
y
활동지원
장애인고용
최저임금
전체검색
참여토론 2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HOME
관리자 로그인
ENGLISH
메인메뉴
이슈&활동
토론&개선
자료실
협력&나눔
한국장애인인권상
한국장총
주요이슈
활동브리핑
공지사항
참여토론
제도개선
나도 한마디
정책정보
정책자료
발간자료
회원소식
협력사업
후원안내
인권상 소개
시상안내
명예의전당
게시판
한국장총은
사업소개
오시는길
참여토론
토론&개선
참여토론
제도개선
나도 한마디
참여토론 목록
549
대중교통 이용, 목숨마저 담보해야 하나요?
완료
신길역 휠체어리프트 사고 현장에서 장애인 단체가 이동권 확보를 위한 운동을 하고 있다. ⓒ비마이너 지난 2001년, 오이도역에서 수직형 휠체어리프트의 와이어가 끊어져 휠체어 이용자가 사망했습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장애인단체는 ‘장애인 이동권’ 확보를 위해 눈물 섞인 투쟁을 시작하였습니다. 끊임없는 노력 속에 마침내 지하철 역사 내 승강기가 생겨났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지하철 역사는 안전을 위협하는 휠체어 리프트를…
548
장애인등 편의증진법 20년, 충분한가요?
완료
ⓒ중도일보 봄꽃이 만개하고 꽃향기가 느껴지는 5월, 사랑하는 연인과의 여행, 힐링 그리고 가족여행을 꿈꾸며, 잠시 일상에서 벗어나 휴식을 준비하는 비장애인들이 우리 주변에 많이 보입니다.하지만 대다수의 장애인들은 ‘여행’ 이란 단어에서 쉼과 힐링을 생각하기보다는 의례 걱정이 앞섭니다. 대부분의 관광지, 숙소, 식당들이 제공하는 편의시설이 한없이 부족하기 때문이죠. 굳이 여행이 아니더라도 일상에서 겪고 있는 불편함인데 말이…
547
일상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중도 장애인, 걸림돌이 무엇인가요?
완료
산업재해, 질병, 약물 남용 등 위험이 곳곳에 산재해있는 현대 사회에서는 누구나 장애인이 될 수 있습니다. 국내 장애인 인구 중 89%가 중도 장애인이라는 점이 이를 증명합니다. 비장애인의 삶을 살다가 장애인이 된 중도 장애인은 갑작스러운 신체 기능의 상실 등으로 심리적, 경제적, 사회적 어려움을 복합적으로 겪게 됩니다. 이에 중도 장애인의 사회복귀를 위해서는 건강과 소득 보장, 심리 안정 및 장애 수용 지원 등 다양한 관…
545
[특수학급 OR 통합학급] 사회적 통합을 위해서 일반학교는 어떻게 학급을 운영해야할까요?
완료
[출처]www.flickr.com[출처] jscfeatures.jsc.nasa.gov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들의 사회적 통합을 위해서 일반학교는 어떻게 학급을 운영해야할까요?인천에서는 일반학교 안에 있는 특수학급을 2018년도에 19개를 증설할 예정이며, 그 이유로는 “늘어나는 특수교육 수요에 부응하고자”한다고 밝혔습니다.(인천 유치원·초·고교 특수학급 21개 늘려…104명 더 수용, 2017.12.01., 연합뉴스) 이처럼 …
544
장애인 최저임금 적용제외의 대안, 감액인가 임금 보조인가
완료
[사진. 170404 장애인 최저임금 도입을 위한 토론회]2018년 최저임금이 7,530원으로 전년 대비 16.4% 인상되었습니다. 하지만 장애인들은 기쁘지 않습니다. 2018년 최저임금이 오른다 할지라도 장애인 시급은 오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많은 수의 장애인 근로자들이‘최저임금 적용제외 인가 제도’(이하 적용제외 제도)에 적용되기 때문입니다.김승희 국회의원에 따르면, 2016년 장애인 근로자의 평균 임금이2,896원에 불과…
543
문재인 정부의 장애인복지정책, 어떻게 생각하세요?
완료
문재인 정부가 내건 비전은 “국민의 나라, 정의로운 대한민국”입니다. 이에 걸맞게 지금껏 볼 수 없었던 최대 규모의 복지 예산을 책정하고, 문재인 케어 등 다양한 복지 정책을 내놓은 문재인 정부는 장애인 분야에도 관심을 많이 보이고 있습니다.문재인 정부는 장애인연금을 확대하여 장애인의 소득보전을 위해 노력하는 한편, 장애등급제 단계적 폐지 추진 및 장애인권리보장법 제정 등을 약속했습니다. 또한 매년 전국체육대회(전국체전) 후에…
539
[환경 vs 관광] 설악산 케이블카 설치,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완료
설악산이나 지리산에 케이블카를 설치하는 것에 대해서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환경부는 2015년 설악산에 케이블카 설치를 허용했습니다. 이에 대해 1995년부터 찬반 논쟁이 시작되었는데 지금까지도 찬반 논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찬반의 주된 내용은 환경보호와 관광자원입니다.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찬성 입장(관광 자원 확보) ▷ 설악산은 국민 누구나 정상에 올라 경관을 즐기고 싶어 하는 국립공원이기 때문에 …
502
'장애인 사업주'는 보조공학기기 지원받으면 안되나요?
완료
“장애인이 직장에서 일을 하려면 사업주와 근로자 구분 없이 보조공학기기가 필요한데 사업주라는 이유로 보조공학기기를 지원받을 수 없는 것은 차별입니다.” 현재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는 장애인의 고용촉진과 직업생활 안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직업생활에 필요한 각종 보조공학기기를 지원하는 제도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제도는 장애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고용유지 또는 무상지원 조건으로 보조공학기기를 지원하고 있는데요.…
처음
1
페이지
열린
2
페이지
단체명 :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 주소 : (0723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22(여의도동) 이룸센터 4층
전화 : 02-783-0067 | 팩스 : 02-783-0069 | 이메일 : mail@kodaf.kr
Copyrightⓒ 2017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All Rights Reserved. Supported by
푸른아이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