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복지제도에서 노인복지제도로의 이동 과정에서 대상자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제도적 운영으로 인해 고령장애인은 서비스 단절과 공백을 겪고 있습니다. 국가 및 지자체 차원에서 통합적 제도 운영과 고령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지원정책이 마련될 수 있도록 관심과 개선이 필요합니다. …
한국장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23-07-17 18:03:55저출산·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최근 노인 연령 상향에 대한 이슈가 화두입니다. 국민연금 재정 고갈 대비, 무임승차 등 경로우대제 적자난 완화 등을 위해 정부에서는 노인 연령기준을 만 65세 이상에서 70세로 상향하는 방향을 검토하고 있는데요. 이와 달리 고령장애인 연령기준은 더 하향해야…
한국장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23-07-13 09:51:34'고령장애인 연령기준과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활동브리핑 바로가기
한국장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23-07-13 09:33:51알쏭달쏭 노인연령기준 우리나라 노인복지법에서 노인은 만65세를 기준으로 한다. 만65세 이상이 되면 기초연금이 개시되며 노인장기요양보험을 신청할 수 있고 노인복지시설 이용, 노인맞춤돌봄서비스, 국가예방접종, 철도나 국·공립공원 등의 경로우대제를 적용받을 수 있다. 하지만 치매검진사업이나 치매치료관리비 …
한국장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23-05-10 17:37:25등록장애인 263만 명 시대다. 전체 인구대비 5.1%를 차지한다. 2020년에만 8만3천명이 새롭게 장애인으로 등록했고, 장애정도가 심한 중증장애인이 전체의 37.4%를 차지한다. 신규 장애인의 증가로 새롭게 장애인복지 혜택을 기대하는 장애인구가 증가하였다. 중증장애인의 수는 타인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한국장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21-04-20 09:29:01집권 5년차를 맞은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1일 4번째 신년사를 발표했다. 2021년 문 대통령이 꼽은 세가지 키워드는 회복, 도약, 포용이다. 일상을 되찾고, 경제를 회복하며, 격차를 줄이는 한 해가 되기를 기대하며 계획들을 밝혔다.2021년 장애계에 필요한 핵심 키워드는 무엇일까? 신축년 장애계 5…
한국장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21-01-20 09:48:11전국의 유형별, 직능별 장애인단체는 장애인의 삶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정책 개선 활동을 통해 법령의 제,개정과 그에 따른 정책의 시행 모니터링, 감시의 역할을 해오고 있습니다.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30여개 회원 단체와 함께2009년부터 장애계의 현안이 될 수 있는 주요 정책활동과제를 함께 선정…
한국장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21-01-15 16:51:46[2020 총선장애인연대가 결성되어 주요 정책과제 마련을 위해 논의하고 있다. 사진출처 :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전국 직능별·유형별 41개 중앙장애인단체로 구성된 2020 총선장애인연대[이하 '총선연대']는 지난 2월 13일, 주요 정책요구과제 마련을 위한 회의를 가진 후 참여단체의 의견 수렴을 거쳐…
한국장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20-03-05 16:49:43-한국장총 발간자료『장애인정책리포트』발행- 고령장애인 문제, 새해엔 개선이 이뤄질 수 있을까?우리나라의 고령화속도는 OECD국가 중 가장 빠릅니다. 특히 장애인 고령화는 비장애인구의 고령화 속도보다 훨씬 빠르며 2017년 연령별 장애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무려 46.6%에 이르렀는데…
한국장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20-01-28 13:5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