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내 전체검색

장애인·농어민 등 정보화 수준 매년 꾸준히 향상 > 복지정책자료

본문 바로가기

커뮤니티

  • youtube
  • facebook
  • instagram
  • 네이버 포스트

장애인·농어민 등 정보화 수준 매년 꾸준히 향상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국장총 작성일2012-02-06 00:00:00 조회2,340회

본문


이른 바 정보소외계층으로 불리는 장애인농어민 등의 정보화 수준이 전체 국민의 72.4%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소외계층의 정보화 수준은 작년에 비해 1.3%p 향상된 것으로, 처음 조사를 시작한 2004년에 비해 27.4%p 향상되었다.

계층별로는 장애인 82.2%(전년대비 0.9%p), 저소득층 81.4% (0.9%p), 장노년층 69.2%(1.7%p), 농어민 63.6%(1.8%p) 순이었다.

이러한 수치는 행정안전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3일 발표한 ‘2011년 정보격차지수 및 실태조사결과에 따른 것이다.

조사에 의하면, 최근 한 달 이내 인터넷을 사용한 인구(인터넷이용률)100명 중 45.6(전년도 44.3), PC를 보유한 가구는 100가구 중 67.7가구(전년도 67.2가구)로 계층간 정보격차가 지속적으로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7B52F8D4D4-7DBC-4CC9-B746-A3AB39D9E207%7D.JPG

* 전체국민의 수준을 100으로 가정 * 전체국민 인터넷 이용률 78.3% * 전체국민 가구PC 보유율 81.9%


그 밖에,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가입하여 월 1회 이상 이용하는 소외계층 인구는 100명 중 13.6명이며(전체국민 31.1), 소외계층 중 사회적 이슈 등에 댓글을 달거나 커뮤니티에 가입해 활동하는 온라인 사회참여 인구는 100명 중 34.8(전체국민 56.7)으로 나타났다.


또한, 급변하는 모바일 환경변화에 맞추어 신규로 조사한 모바일 정보화수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외계층 스마트폰 보유인구가 100명 중 8.6명으로 전년(1.3) 대비 6.6배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어, 실생활에서 스마트폰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소외계층 대상 스마트폰 활용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결혼이민자북한이탈주민 등 신()정보소외계층의 정보화수준을 신규로 조사한 결과, 결혼이민자는 전체국민의 71.4%, 북한이탈주민은 66.0%이었다.

이 중에, PC를 보유한 가구는 100가구 중 결혼이민자 68.5가구, 북한이탈주민 59.7가구로 경제적으로 열악한 북한이탈주민의 PC보유율이 더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장광수 행정안전부 정보화전략실장은, “새롭게 부각되는 모바일 정보격차를 선제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모바일 활용교육을 강화*하고, ()정보소외계층인 결혼이민자의 격차해소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12년에 237개 정보화교육장 및 온라인 교육을 통해 모바일 활용교육 실시(6천명)
** ‘12년도 다문화 IT 방문지도사100명을 양성하여 700개 다문화가정에 대한 방문정보화교육 실시

 

<참고> 연도별 정보격차 실태조사 결과

정보소외계층 일반 정보화수준 현황

 

일반 정보화수준 현황 (단위 : %)

구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장애인

57.5

65.2 

73.9 

76.0 

78.8 

80.3 

81.3 

82.2 

저소득층 

55.6 

64.2 

73.0 

75.5 

78.1 

79.5 

80.5 

81.4 

장노년층

40.9

49.3

58.4 

62.6 

64.2 

65.9 

67.5 

69.2 

농어민

33.8

41.7

49.8

54.6

57.9

60.3 

61.8

63.6 

평균 

 45.0

53.3 

62.0

65.9

68.0

69.7

71.7

72.4 

일반 정보화수준PC기반의 정보화 현황(인터넷 이용율, 가구PC 보유율, 정보화 활용능력 등)

 

인터넷 이용률 현황 (단위 : %)

구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전체국민

 70.2

72.8 

74.8 

76.3 

77.1 

77.6 

78.3 

78.3 

 외 

 저소득층

38.4

44.2

48.4

52.8

54.6

55.7

56.5

57.4

장애인

34.8

41.0

46.6

49.9

51.8

52.7

53.5

54.4

장노년층

19.3

22.5

28.3

34.1

35.6

37.6

39.3

41.1

농어민

16.9

23.0

29.4

33.4

35.2

36.2

37.5

38.9

평균

24.9

29.4

35.1

40.1

41.7

43.0

44.3

45.6

인터넷 이용률은 최근 한 달 이내에 인터넷을 이용한 인구 비율임

 

가구내 PC 보유율 현황 (단위 : %)

구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전체국민

77.8

78.9

79.6

80.4 

80.9 

81.4 

81.8

81.9 

장애인

62.3

66.2

68.7

69.9

70.7

71.2

71.6

71.9

저소득층

49.9

53.4

57.7

61.3

63.1

64.7

66.1

67.5

농어민

35.8

43.6

50.2

55.0

57.4

58.7

60.3

60.8

평균

48.7

54.2

60.1

63.4

65.1

66.2

67.2

67.7

   

정보소외계층 스마트폰 보유율 현황 (단위 : %)

 구분

2010년 

2011년 

전체국민 

14.8

39.6 

저소득층

1.9 

17.0

장애인

1.6

8.6 

농어민

1.0

7.3

장노년층

1.0

6.2

 평균

1.3

8.6

◆ 신(新)정보소외계층 정보화수준 현황('11년 별도 조사)

  - 결혼이민자 : 일반정보화수준(전체국민의 71.4%), 인터넷이용률(55.3%), 가구PC보유율(68.5%)

  - 북한이탈주민 : 일반정보화수준(전체국민의 66.0%), 인터넷이용률(52.7%), 가구PC보유율(59.7%)

출처: 행정안전부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17-08-19 16:23:39 정책정보에서 이동 됨]

단체명 :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   주소 : (0723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22(여의도동) 이룸센터 4층
전화 : 02-783-0067   |   팩스 : 02-783-0069   |   이메일 : mail@kodaf.kr
Copyrightⓒ 2017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All Rights Reserved. Supported by 푸른아이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