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내 전체검색

장애인e스포츠의 스포츠등급분류 기준 마련 > 복지정책자료

본문 바로가기

커뮤니티

  • youtube
  • facebook
  • instagram
  • 네이버 포스트

장애인e스포츠의 스포츠등급분류 기준 마련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국장총 작성일2011-05-25 00:00:00 조회1,837회

본문


한국콘텐츠진흥원은 대한장애인e스포츠연맹과 함께 장애인e스포츠의 활성화와 공정한 대회 진행을 위한 ‘장애인e스포츠의 스포츠등급분류 기준(안)’을 마련했다.

이는 모든 장애인에게 공정하고 합리적인 기준을 제시하여 동등한 환경에서 e스포츠의 권리를 보장하고 장려하고자 함이다. 장애인 e스포츠 등급은 총 8개 분야로 분류되며, 장애 정도보다는 장애인이 갖는 장애의 유형을 통해 기준을 정하게 된다


<참고>장애인e스포츠 등급분류_진입단계 모델
등 급 명 분 류 세부 내용 비 고
eSC 1 지체장애 양측 사용 척수, 근력 등 조건에
따른 세분화 가능함
eSC 2 지체장애 일측 사용 손가락, 근력 세분화
eSC 3 뇌병변장애 뇌손상으로 인한 장애
eSC 4 시각장애 시야장애 및 시력결손 장애
eSC 5 청각장애, 언어장애 언어, 음성, 구어장애, 청력장애 및 평형기능장애
eSC 6 신체적 장애 중 내부기능의 장애(신장장애, 심장장애, 간장애,
호흡기장애, 장루·요루장애, 간질장애), 외부기능의 장애(안면장애)
및 정신분열병 등의 정신장애
eSC 7 지적장애 발달장애로 지능지수가 75 또는 70 이하인 경우 70 : 기준
75 : 추세
eSC 8 자폐성장애 발달장애로 소아청소년 자폐 등 지능지수 70

* 기타 : 중복 장애 시 선택 가능
* 모든 등급은 추후 세분화 가능함
* 필요시 통합 운영 가능


KOCCA 게임산업팀 강경석 팀장은 “장애인e스포츠 스포츠등급분류는 그동안 일반인에 보편화되었던 e스포츠에 대한 장애인의 참여를 용이하게 하여, 사회적 장벽을 극복하고 비장애인과의 교류를 강화함으로서 장애인의 사회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또한 대한장애인e스포츠연맹 정도명 사무국장은 “최근 게임과 몰입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지만 e스포츠는 우리나라 인구의 9%를 차지하는 장애인들에게 신체적‧정신적 능력 강화, 재활과 치료 등 장애 기능 회복, 자신감 회복, 여가선용 기회 제공, 어울림 사회통합, e스포츠 종주국 위상 강화 등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고 그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연맹에서 이번에 마련된 분류기준을 올 9월에 개최되는 ‘세계장애인e스포츠대회’부터 등급분류를 적용하기로 함에 따라 그 활용이 점차 확대 될 것으로 보인다.

 

* 한국콘텐츠진흥원은 e스포츠 종주국에서 e스포츠를 담당하는 기관으로서 문화체육관광부와 함께 e스포츠의 체계적 발전을 위해 국제e스포츠심포지엄, 대통령배전국아마추어e스포츠대회, 전국장애학생e스포츠대회, 전국장애인기능경기대회-e스포츠대회, e스포츠미래발전포럼, 국제e스포츠연맹설립 등 다양한 사업 추진을 통해 e스포츠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왔다.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 홈페이지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17-08-19 16:24:16 정책정보에서 이동 됨]

단체명 :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   주소 : (0723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22(여의도동) 이룸센터 4층
전화 : 02-783-0067   |   팩스 : 02-783-0069   |   이메일 : mail@kodaf.kr
Copyrightⓒ 2017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All Rights Reserved. Supported by 푸른아이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