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내 전체검색

올 11월부터 장애인등록증에 고속도로통행료 할인카드 기능 통합 > 복지정책자료

본문 바로가기

커뮤니티

  • youtube
  • facebook
  • instagram
  • 네이버 포스트

올 11월부터 장애인등록증에 고속도로통행료 할인카드 기능 통합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국장총 작성일2012-10-10 00:00:00 조회4,841회

본문


□ 올해 11월부터는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카드 기능이 통합된 장애인등록증이 발급될 예정이다.

○ 이에 따라 장애인이 장애인등록증만 있으면 고속도로 통행료를 할인 받을 수 있어, 따로 통행료 할인카드를 신청하거나 재발급 받기 위해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하는 불편이 없어질 전망이다.

* 2011년 장애인 현황(추정수) : 2,683,477명

□ 행정안전부는 보건복지부‧고용노동부‧여성가족부와 합동으로 국민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26개의 민원제도를 개선한다. 제도 개선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올해 말부터는 사업자가 지방노동관서에서 구인 신청을 할 때, 사업자등록 내용과 신원 확인을 위해 첨부하던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행정기관 내부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어, 민원인은 제출하지 않아도 된다.

* 2011년도 구인·구직신청 현황 : 4,266,286건(이중 구인신청 약 175만 건)

○ 내년부터는 시·군·구청에서 발급 받던 보육교직원 경력(재직)증명서를 읍·면·동 주민센터에서도 즉시 발급 받을 수 있게 된다. 인터넷으로 신청하면 신청자가 즉시 인쇄할 수 있도록 2014년까지 시스템이 개선된다.

* (현재) 인터넷(민원24)을 통해 증명서 신청만 가능, 발급·수령을 위해서는 시군구/읍면동 방문

○ 내년부터는 시·군·구와 읍·면·동에서 사회복지서비스와 급여(예: 기초생활보장, 장애인연금, 아동청소년지원 등)를 신청할 때 첨부해야 하는 소득금액증명서를 행정기관 내부시스템에서 확인하고 민원인은 제출하지 않아도 되어, 소득금액증명서를 발급받기 위해 별도로 세무서 등에 갈 필요가 없게 된다.

* (현재) 인터넷은 신청만 가능(신청 후 인근 시군구/읍면동에서 수령 또는 세무서 방문 신청)

○ 고용주가 고용‧산재보험료 신고납부를 할 때, 보험료 금액에 상관없이 신용카드로도 보험료를 낼 수 있도록 2013년 말까지 납부방법을 개선해 납부의 편의를 제고할 계획이다.

* (현재) 5인 미만 사업장의 월100만원 미만 체납보험료에 한하여 신용카드납부 허용

* (현재) 지역가입자의 경우 4대 사회보험료(건강‧연금‧고용‧산재) 신용카드납부 가능

○ 또한, 내년부터는 ‘요양보호사 자격증 재발급’의 처리기간이 30일에서 7일로 단축되는 등 신속한 민원처리를 위해 민원사무 7종의 법정처리기간이 크게 단축될 예정이다.

□ 행정안전부 서필언 제1차관은 ”앞으로도 국민들의 일상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민원제도를 개선 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출처 : 행정안전부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17-08-19 16:25:50 일반자료에서 이동 됨]

첨부파일

Total 966건 12 페이지
게시물 검색
복지정책자료 목록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790 인권위 안마사 자격으로 중학교 이상 학력 의무화 과도 권고, 보건복지부 … 2012-11-06 3009
789 장애인 자립생활 막는 부양의무자 적용 제외 법안 발의 2012-11-01 3214
788 UN ESCP 정부간고위급회의 및 인천세계장애대회 개최 2012-10-18 3192
열람중 올 11월부터 장애인등록증에 고속도로통행료 할인카드 기능 통합 2012-10-10 4842
786 2012장애인복지시설 일람표 2012-10-04 3006
785 가정폭력·성폭력 피해 장애인을 위한 통합보호시설 개소 2012-09-21 2874
784 2013년 최저생계비 고시 제정안 입안예고 2012-09-14 2718
783 2013년 최저생계비 3.% 인상 2012-09-10 3918
782 형사사법절차에서 의사소통 조력인 보장을 위한 관련 법 발의 2012-09-03 2708
781 장애인 공무원 인사관리 매뉴얼 2012-08-28 3368
780 「장애인․고령자 등 주거약자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국무회의 의결 2012-08-17 3081
779 공소시효 폐지, 성범죄 범위 확대 등 아동·청소년대상 성범죄예방 강화 2012-08-16 2787
778 바우처 서비스 제공기관 선택권 확대 된다 2012-08-03 4423
777 유엔여성차별철폐협약 제7차 국가보고서 2012-07-31 4013
776 지하철 이용환경 개선을 위한 '온라인 정책 생방송' 진행 2012-07-24 3280
775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각급학교 내 장애인 일자리 사업」본… 2012-07-24 3255

단체명 :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   주소 : (0723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22(여의도동) 이룸센터 4층
전화 : 02-783-0067   |   팩스 : 02-783-0069   |   이메일 : mail@kodaf.kr
Copyrightⓒ 2017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All Rights Reserved. Supported by 푸른아이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