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내 전체검색

제11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9년) > 명예의전당

본문 바로가기
  • youtube
  • facebook
  • instagram
  • 네이버 포스트

제11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9년)

본문


○ 인권정책부문 

-사단법인열린네트워크 2000년 4월 장애인 인권개선을 위한 연구를 목적으로 결성된 시민단체이다. 2001년 2월부터 변호사, 교수, 장애인 당사자 들이 모여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법률적 연구에 착수한 것을 시작으로, 밖으로는 장차법의 필요성을 설득하기 위한 대대적 국토순례 운동, 서명 운동 등을 전개하였다. 장차법 제정을 위한 2002선언을 통해 구체화 된 장차법의 골격을 마련 하였고, 전국 장애인 인권운동 조직체‘장애인차별금지법제정추진연대’ 와의 연대를 통해 현재의 장애인차별금지법이 나오기까지 최일선에서 함께 운동을 했다. 

 

○ 인권실천부문 

-임지봉(서강대학교 법학과 교수) 시각장애인 안마사제도의 위헌결정으로 시각장애인의 생계수단이 위협 받았던 심각한 사회문제와 관련, 안마사제도 관련 의료법의 위헌적 요소에 대한 보완입법 과정을 주도하여 2008년 10월 동 법의 합헌결정을 이끌어 냄으로써 시각장애인 안마권 수호에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임지봉 교수는 국가인권인권위원회 등에서의 연구, 집필활동을 통해 장애인․소수약자의 보호를 위한 학문적 노력에 전력을 다하고 있으며, 이 밖에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무료변론, 구직활동 지원, 시각장애인 학생을 위한 장학금지원을 하는 등, 우리 사회의 장애인 및 소수자의 인권보장을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법학자이다. 

 

○ 인권매체부문 

-MBC 시사교양국 장애인 삶에 대한 본질적인 재조명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의 계기가 되는 다수의 프로그램들을 제작해 왔다. 스페셜로 제작된 “그들의 세상바라보기,안면장애인”, “몸에 대한 몇 가지 시선-장애여성의 성과 사랑”등과 같은 프로그램에서는 장애인 당사자의 시각에서 사회적 문제를 재조명하였고, 장애인의 날 특별생방송을 통해서는 장애인의 문화예술 향유와 교육에 대한 실태와 사례를 소개하여 발전방향을 모색했다. 또한 카라 등의 유명가수의 참여속에 장애인차별금지송을 제작 배포하였으며, 장애인 및 발달장애아들의 재능발굴과 장애여성의 임신 및 출산에 대한 사례를 소개하여 시청자의 많은 공감대를 이끌어 냈다. 

 

 ○ 인권자치부문 

-경기도 화성시 장애인들을 위한 도시계획과 조례제정을 통하여 장애인 인권 도시 만들기에 앞장섰다. 화성시 공공 시설물 유니버설 디자인 조례, 화성시 여성장애인 출산 지원관련 조례 등을 제정 공포하는 등 법률적 접근으로 장애인 인권증진 시책들을 시행하고 있으며, 장애인차별금지법을 정책적 뒷받침을 통해 실천해가고 있다. 또한 늘어나는 장애인 복지수요에 발 맞추어 장애아동보육지원센터, 통합어린이집, 장애아재활치료교육센터, 장애인복합복지타운, 장애인 의료복지타운을 증축 하는 등 장애인 복지시설 인프라 구축에 활발한 투자와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광주광역시 남구

선도적인 장애인 정책 실천을 통해 장애인의 복지증진과 문제해결에 헌신했다. 특히 다른 자치단체가 꺼려하는 장애인전문지원사업에 적극적으로 자원하여 시범사업체로 참여함으로써 다른 자치구의 추종을 불허 할 수준의 월등하게 많은 장애인복지사업 성과를 산출하고 있다(장애인복지 인프라 개편 사업, 장애인장기요양보장사업, 중증장애인 다수고용사업의 최종사업자 선정 등). 이 밖에 찾아가는 장애인보장구 수리․소독 및 집 무상수리 사업,중중장애인 화재경보기 보급 및 소화기 보급설치 사업 등은 광주 남구청 공무원들의 장애인들에 대한 헌신적인 사랑과 관심을 보여주는 남구청 만의 특성화 사업들이다.

명예의전당 목록

제15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13년)

인권실천부문: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공동행동 / 한국시각장애인여성연합회
인권매체부문: KBS3라디오 사랑의 소리 방송
기초자치부문: 경상남도 진주시
공공기관부문: 대전지방경찰청

제14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12년)

인권정책부문: 광주광역시청
인권실천부문: 장애여성네트워크
인권매체부문: 함께걸음
인권자치부문: 서울특별시 송파구
공공기관부문: 충남지방경찰청

제13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11년)

인권정책부문: 장애아동복지지원법 제정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인권실천부문: 박종혁(국립암센터 연구직 과장)
인권매체부문: 황동혁(도가니 감독)
인권자치부문: 인천광역시 남구청
공공기관부문: 한국정보화진흥원

제12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10년)

인권정책부문: 한국여성장애인연합
인권실천부문: 안태성(前 청강대 교수)
인권매체부문: EBS 지식채널E 제작팀
인권자치부문: 정읍시청
공공기관부문: 120 다산콜센터

제11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9년)

인권정책부문: 사답법인 열린네트워크
인권실천부문: 임지봉(서강대학교 교수)
인권매체부문: MBC 시사교양국
인권자치부문: 경기도 화성시 / 광주광역시 남구

제10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8년)

정책개선부문: 장애인편의시설촉진시민연대
생활실천부문: ㈜엑스비전테크놀로지
교육실천부문: 김승국(단국대학교 명예교수)
문화예술부문: 송경태(전북시각장애인도서관장)
인식개선방송언론부문: 에이블뉴스 / 특별상: 경기도 성남시

제9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7년)

정책개선부문: 장애인차별금지법제정추진연대
생활실천부문: 신정순(한국뇌성마비복지협회장) / 현대·기아자동차그룹(대표 정몽구)
교육실천부문: 박성수(강원명진학교 교사)
방송프로그램부문: SBS 'SOS 24'

제8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6년)

정책개선부문: 공익변호사그룹 공감
생활실천부문: 제라딘라이안(명도복지관 관장)
교육실천부문: 삼성화재해상보험주식회사(사장 황태선)
문화예술부문: 솟대문학(발행인 방귀희)
방송프로그램부문: KBS라디오 '내일은푸른하늘' (주미영 PD)

제7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5년)

정책개선부문: 한국농아인협회(회장 변승일)
교육실천부문: 법무부 대전의료소년원(원장 고영종)
문화예술부문: 정윤철(영화 말아톤 감독)
방송프로그램부문: 금성찬(EBS 죽마고우PD)
생활실천부문: 원주시장애인종합복지관 서미혜(Margaret Jean Storey)관장

제6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4년)

개인부문: 안영회(월간 아름다운 손짓 편집인) / 김정권(대구대학교 명예교수)
단체부문: 장애인교육권연대(대표 김경애 외 6인)

단체명 :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   주소 : (0723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22(여의도동) 이룸센터 4층
전화 : 02-783-0067   |   팩스 : 02-783-0069   |   이메일 : mail@kodaf.kr
Copyrightⓒ 2017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All Rights Reserved. Supported by 푸른아이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