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내 전체검색

제12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10년) > 명예의전당

본문 바로가기
  • youtube
  • facebook
  • instagram
  • 네이버 포스트

제12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10년)

본문


 ○ 인권정책부문 

-한국여성장애인연합

여성장애인의 성폭력 문제가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된 1999년부터 장애특성이 반영되지 않는 성폭력특별법 제8조(장애인에 대한 간음 등)의 '항거불능' 용어의 삭제와 성폭력특별법 제8조의 개정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요구하여, 국회에서 성폭력특별법 개정과 장애여성지원법안이 발의되었다. 또한 성폭력피해자 보호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해당 시설은 2009년 현재 신규 입소인원 32명을 포함하여 66명의 여성장애인을 보호하고 있다. 

 

○ 인권실천부문 -안태성 청각장애를 가졌다는 이유로 교수 임용상 차별을 받고 해임되어 지난 3년간 대학을 상대로 외로운 투쟁을 해왔다. 부당해고를 당한 안교수는 청각장애인이라는 이유로 겪은 불합리한 차별과 모욕적인 언사 등 고의적인 차별행위에 대해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제기하여, 2008년 인권위는 청강대를 대상으로 특별인권교육실시를 권고하였다. 


 ○ 인권매체부문

-EBS 지식채널e 제작팀 2006년부터 수상 당시까지 총 22회 걸쳐 장애인의 문제를 소개하였으며, 시혜와 동정을 베푸는 대상이 아닌 인권의 눈으로 장애인의 현실을 직시하며 시청자에게 장애인문제의 화두를 던짐으로써 시청자 스스로 메시지를 만들어가도록 하여 장애문제에 거부감 없이 고민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또한 다양한 장애유형의 현실과 장애인의 인권에 대해 짧지만 강한 인상을 남기는 영상으로 시혜와 동정의 대상으로 비춰진 장애인의 모습을 현실중심의 장애인 인권으로 구성하여 시청자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 인권자치부문

-정읍시청 정읍시는 전체 공무원 1,064명 중 48명이 장애인 공무원으로 법정의무 고용률인 3%를 초과하는 4,5%로 기초지자체 가운데 최고 수준의 장애인 고용률을 자랑하여 타 지자체의 모범이 되었다. 우리사회에서 만연한 님비현상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으로 장애인특수학교 ‘푸른학교’를 유치하여 지역 장애아동의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접근성을 확보하는 등 특수교육에 노력하였다. 이외에도 2009 장애인 웹접근성 준수 실태조사에서는 90점을 받아 웹접근성 품질마크 인증을 획득하여 장애인의 웹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장애인 무선전등스위치 지원 및 설치, 장애인차량 무상 점검, 소독서비스 지원 등 정읍시청은 장애인이 살기 좋은 고장을 만들기 위하여 다양한 장애인 복지 서비스와 편의시설을 설치하는데 노력하였다.


 ○ 공공기관부문

-120다산콜센터 120다산콜센터는 2007년 9월 정식 오픈하여 2008년 국내 최초로 청각장애인 수화상담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소통의 어려움으로 생활에 불편을 겪어온 청각언어장애인들에게는 의사소통의 창구 기능과 함께 작지만 소중한 청각장애인의 권익을 찾아 대변해주고 있는 센터로 꾸준한 사랑을 받았다. 청각장애인의 민원업무를 손쉽고 적극적으로 해결하고자 다양한 서비스를 구현하는 120다산콜센터는 신속, 친절, 감동의 민원처리 시스템으로 전화 한통화로 장애인의 생활궁금증을 해결하고, 장애인의 복지증진과 장애인차별금지법 실천에 앞장섰다.

명예의전당 목록

제15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13년)

인권실천부문: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공동행동 / 한국시각장애인여성연합회
인권매체부문: KBS3라디오 사랑의 소리 방송
기초자치부문: 경상남도 진주시
공공기관부문: 대전지방경찰청

제14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12년)

인권정책부문: 광주광역시청
인권실천부문: 장애여성네트워크
인권매체부문: 함께걸음
인권자치부문: 서울특별시 송파구
공공기관부문: 충남지방경찰청

제13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11년)

인권정책부문: 장애아동복지지원법 제정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인권실천부문: 박종혁(국립암센터 연구직 과장)
인권매체부문: 황동혁(도가니 감독)
인권자치부문: 인천광역시 남구청
공공기관부문: 한국정보화진흥원

제12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10년)

인권정책부문: 한국여성장애인연합
인권실천부문: 안태성(前 청강대 교수)
인권매체부문: EBS 지식채널E 제작팀
인권자치부문: 정읍시청
공공기관부문: 120 다산콜센터

제11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9년)

인권정책부문: 사답법인 열린네트워크
인권실천부문: 임지봉(서강대학교 교수)
인권매체부문: MBC 시사교양국
인권자치부문: 경기도 화성시 / 광주광역시 남구

제10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8년)

정책개선부문: 장애인편의시설촉진시민연대
생활실천부문: ㈜엑스비전테크놀로지
교육실천부문: 김승국(단국대학교 명예교수)
문화예술부문: 송경태(전북시각장애인도서관장)
인식개선방송언론부문: 에이블뉴스 / 특별상: 경기도 성남시

제9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7년)

정책개선부문: 장애인차별금지법제정추진연대
생활실천부문: 신정순(한국뇌성마비복지협회장) / 현대·기아자동차그룹(대표 정몽구)
교육실천부문: 박성수(강원명진학교 교사)
방송프로그램부문: SBS 'SOS 24'

제8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6년)

정책개선부문: 공익변호사그룹 공감
생활실천부문: 제라딘라이안(명도복지관 관장)
교육실천부문: 삼성화재해상보험주식회사(사장 황태선)
문화예술부문: 솟대문학(발행인 방귀희)
방송프로그램부문: KBS라디오 '내일은푸른하늘' (주미영 PD)

제7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5년)

정책개선부문: 한국농아인협회(회장 변승일)
교육실천부문: 법무부 대전의료소년원(원장 고영종)
문화예술부문: 정윤철(영화 말아톤 감독)
방송프로그램부문: 금성찬(EBS 죽마고우PD)
생활실천부문: 원주시장애인종합복지관 서미혜(Margaret Jean Storey)관장

제6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4년)

개인부문: 안영회(월간 아름다운 손짓 편집인) / 김정권(대구대학교 명예교수)
단체부문: 장애인교육권연대(대표 김경애 외 6인)

단체명 :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   주소 : (0723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22(여의도동) 이룸센터 4층
전화 : 02-783-0067   |   팩스 : 02-783-0069   |   이메일 : mail@kodaf.kr
Copyrightⓒ 2017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All Rights Reserved. Supported by 푸른아이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