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내 전체검색

제14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12년) > 명예의전당

본문 바로가기
  • youtube
  • facebook
  • instagram
  • 네이버 포스트

제14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12년)

본문


○ 인권정책부문 -광주광역시청 시민의 인권도시를 증진시키기 위해 03년 민주,인권,평화도시 발전계획 수립, 사회적 약자를 위한 조례 제정, 시 인권담당부서 설치 등 제도적 기반 구축하였습니다. 장애인의 사회참여와 평등권 실현을 통해 인간으로서 존엄과 가치를 지역사회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특,광역시중 가장먼저 장애인 차별금지 및 인권증진 조례 제정 및 시행하였습니다. 주요 추진 시책으로는 전국최초로 교통약자 버스정류소 설치 조례 제정, 장애인구강센터 운영, 장애인체육센터를 신축 하였으며 시각장애인축구장(히딩크 드림필드 제6호)을 개장하여 장애인과 함께하는 인권도시 조성에 앞장섰습니다. 시설장애인 인권향상 종합대책 5개분야 13개 시책을 추진으로 인권침해의 효율적 예방과 장애권익 증진과 맞춤형 복지 확대로 따뜻한 복지공동체 구현하였습니다. ○ 인권실천부문 -장애여성네트워크 글쓰기 강좌(2006년~2012년 계속) 장애여성의 내면치유와 장애여성 관점 확립을 목적으로 역량강화 증대, 사회 진출의 계기를 마련함(2012년 현재 수료생 약 100명 배출, 칼럼리스트 양수경 등 10여명 활동 중, 장애여성 웹진 INU 운영(2010년 7월 ~ 현재, 양수경 외 총 310편) 등


○ 인권매체부문

-함께걸음 1988년 3월 제1호 월간 함께걸음은 창간되면서 장애문제에 대한 전문잡지로 소외받고 권지를 침해받은 장애인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우리사회에서 장애인복지가 더 이상 시혜적인 차원이 아닌 인권의 문제임을 알리는 언론으로서의 역할을 시작했습니다. 2005년 초점기사로 '중증장애우, 일하고 싶다'에서 장애인 고용장려금의 축소로 인하여 일터에서 쫓겨나는 중증장애인의 현실과 정부의 근시안 적인 장애인 고용정책에 대한 문제를 지적하였습니다. 함께걸음은 장애인의 인권과 권리가 침해된 현장, 자립을 위하여 땀흘리는 일터 그리고 장애인권복지의 구현을 위하는 현장에 한발 앞장서서 알려왔다.


○ 기초자치부문

-서울특별시 송파구 매년 장애인복지종합계획을 수립하여 장애인복지정책을 차질없이 수행하여 장애인에게 양질의 서비스와 삶의 질을 높여주고 있으며, 장애인의 자립을 돕기 위해 장애인취업 전문기관인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과 장애인고용 및 취업활성화에 대한 MOU체결, 장애인운전연습장(전국 유일), 시각장애인축구장, 장애청소년 방과후 교실, 밑반찬 배달사업 등 다양한 복지정책으로 타 지자체와 차별화된 장애인복지정책을 펼쳐 2011년도는 서울시로부터 장애인복지 인프라개선 최우수구로 선정되었습니다. 특히 2011년도 '도가니'영화를 계기로 전국 최초 장애인인권실태조사단발족, 인권보장조례 제정, 인권보장위원회를 구성하여 중증장애인에대한 인권실태조사, 장애인 보호자의 장애인인권실태조사 설문조사, 종사자의 장애인 인권침해 행위를 조사 등 장애인 인권보호활동을 전개함으로써 타 지자체에 모범이 되는 장애인 인권정책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 공공기관부문

-충남지방경찰청

장애인의 필요에 맞는 '맞춤형 치안 시책' 추진, 장애인들을 위한 눈높이 치안 활동, 전국 최초 노인장애계를 신설 운영, '맞춤형 치안 시책'의 지속적 운영을 위한 대첵 수립, 사회적 약자 보호대책의 확대 등  

명예의전당 목록

제15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13년)

인권실천부문: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공동행동 / 한국시각장애인여성연합회
인권매체부문: KBS3라디오 사랑의 소리 방송
기초자치부문: 경상남도 진주시
공공기관부문: 대전지방경찰청

제14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12년)

인권정책부문: 광주광역시청
인권실천부문: 장애여성네트워크
인권매체부문: 함께걸음
인권자치부문: 서울특별시 송파구
공공기관부문: 충남지방경찰청

제13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11년)

인권정책부문: 장애아동복지지원법 제정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인권실천부문: 박종혁(국립암센터 연구직 과장)
인권매체부문: 황동혁(도가니 감독)
인권자치부문: 인천광역시 남구청
공공기관부문: 한국정보화진흥원

제12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10년)

인권정책부문: 한국여성장애인연합
인권실천부문: 안태성(前 청강대 교수)
인권매체부문: EBS 지식채널E 제작팀
인권자치부문: 정읍시청
공공기관부문: 120 다산콜센터

제11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9년)

인권정책부문: 사답법인 열린네트워크
인권실천부문: 임지봉(서강대학교 교수)
인권매체부문: MBC 시사교양국
인권자치부문: 경기도 화성시 / 광주광역시 남구

제10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8년)

정책개선부문: 장애인편의시설촉진시민연대
생활실천부문: ㈜엑스비전테크놀로지
교육실천부문: 김승국(단국대학교 명예교수)
문화예술부문: 송경태(전북시각장애인도서관장)
인식개선방송언론부문: 에이블뉴스 / 특별상: 경기도 성남시

제9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7년)

정책개선부문: 장애인차별금지법제정추진연대
생활실천부문: 신정순(한국뇌성마비복지협회장) / 현대·기아자동차그룹(대표 정몽구)
교육실천부문: 박성수(강원명진학교 교사)
방송프로그램부문: SBS 'SOS 24'

제8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6년)

정책개선부문: 공익변호사그룹 공감
생활실천부문: 제라딘라이안(명도복지관 관장)
교육실천부문: 삼성화재해상보험주식회사(사장 황태선)
문화예술부문: 솟대문학(발행인 방귀희)
방송프로그램부문: KBS라디오 '내일은푸른하늘' (주미영 PD)

제7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5년)

정책개선부문: 한국농아인협회(회장 변승일)
교육실천부문: 법무부 대전의료소년원(원장 고영종)
문화예술부문: 정윤철(영화 말아톤 감독)
방송프로그램부문: 금성찬(EBS 죽마고우PD)
생활실천부문: 원주시장애인종합복지관 서미혜(Margaret Jean Storey)관장

제6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4년)

개인부문: 안영회(월간 아름다운 손짓 편집인) / 김정권(대구대학교 명예교수)
단체부문: 장애인교육권연대(대표 김경애 외 6인)

단체명 :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   주소 : (0723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22(여의도동) 이룸센터 4층
전화 : 02-783-0067   |   팩스 : 02-783-0069   |   이메일 : mail@kodaf.kr
Copyrightⓒ 2017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All Rights Reserved. Supported by 푸른아이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