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내 전체검색

제15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13년) > 명예의전당

본문 바로가기
  • youtube
  • facebook
  • instagram
  • 네이버 포스트

제15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13년)

본문


인권실천부문

-장애등급제 부양의무제 폐지 공동행동

201288일 전국 16개 시도 장애등급제 부양의무제폐지 공동행동 출범 선포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장액를 넘어 227개의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여 활발한 활동을 전개해왔습니다. 장애등급제 부양의무제폐지 공동행동 출범과 함께 시작한 100만인 서명운동은 현재까지 63천여명이 참여하였으며, 각종 SNS내 장애등급제와 부양의무제로 인한 폐해와 그 폐지의 필요성에 대한 내용이 공유되고 있습니다.

 

-한국여성시각장애인연합

여성회화교실, 점자교실, 스피치교육 스타일링교육 등을 통해 시각장애인여성들의 역량강화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특히, 한국시각장애인여성연합회는 장애와 여성이라는 이중적 차별과 장애계의 소외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가정폭력 성폭력상담사 양성과정, 성교육전문가과정, 인권교육강사 양성과정 등의 교육을 통해 여성시각장애인들의 의식을 깨우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인권매체부문

-KBS3라디오 사랑의소리방송

450만 장애인과 노인, 다문화 가정 등 소외계층을 위한 전문 프로그램을 제작 방송하는 국내 유일의 지상파 복지 정보채널인 KBS3라디오(사랑의 소리 방송)1995년 이후, 오늘에까지 사회적 약자들의 소중한 소통의 장으로 자리를 잡아왔다. 장애인의 방송 접근권을 향사이켜 장애 비장애인간의 편견 극복과 장애인 권익을 증진하고 매년 장애인 MC와 고정 연사를 확대하고 있으며, '우리는 한가족', '강원래의 노래선물', 시각장애인을 위한 낭독프로그램인 '오늘의 신문', '라디오여행기' 등의 정규 프로그램을 편성하여 장애인들이 좀더 많은 프로그램을 쉽고 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기초자치부문

-진주시청

장애인, 노인, 임산부 아동 들의 노약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하고 시설을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개별시설문과 도시기반을 계획, 설계, 시공하여 누구나 편리한 생활환경을 구축하고자 보편적 복지 시책 마련했습니다. 무장애도시 보행환경 개선을 위해 보도 진입로 높이차이 제거, 도로장애물, 비장애물Zone설치, 점자블록, 볼라드, 험프(Hump)식 횡단보도를 설치했습니다. 무장애도시 관한 인식개선 및 사회분위기 조성을 위해 슬로건, 상징디자인 공모, 장애체험관 운영, UCC공모전, Barrier Free포럼 개최 등 장애물없는 도시를 위해 노력했습니다.

 

공공기관부문

-대전지방경찰청

청각장애인의 인권보장 및 편의 확보를 위해 20137월부터 대전지방경찰청과 대전수화통역센터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청각장애인 수사시 전문수화통역사의 24시간 통역지원 했습니다. 장애인의 범죄 및 실종 위협으로부터 안전 확보, 재가 지적장애인의 가정을 방문하여 장애인 대상 각종 범죄예방, 성폭력 예방교육 실시하였으며 장애인 성폭력 근전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하였습니다.

명예의전당 목록

제15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13년)

인권실천부문: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공동행동 / 한국시각장애인여성연합회
인권매체부문: KBS3라디오 사랑의 소리 방송
기초자치부문: 경상남도 진주시
공공기관부문: 대전지방경찰청

제14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12년)

인권정책부문: 광주광역시청
인권실천부문: 장애여성네트워크
인권매체부문: 함께걸음
인권자치부문: 서울특별시 송파구
공공기관부문: 충남지방경찰청

제13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11년)

인권정책부문: 장애아동복지지원법 제정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인권실천부문: 박종혁(국립암센터 연구직 과장)
인권매체부문: 황동혁(도가니 감독)
인권자치부문: 인천광역시 남구청
공공기관부문: 한국정보화진흥원

제12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10년)

인권정책부문: 한국여성장애인연합
인권실천부문: 안태성(前 청강대 교수)
인권매체부문: EBS 지식채널E 제작팀
인권자치부문: 정읍시청
공공기관부문: 120 다산콜센터

제11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9년)

인권정책부문: 사답법인 열린네트워크
인권실천부문: 임지봉(서강대학교 교수)
인권매체부문: MBC 시사교양국
인권자치부문: 경기도 화성시 / 광주광역시 남구

제10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8년)

정책개선부문: 장애인편의시설촉진시민연대
생활실천부문: ㈜엑스비전테크놀로지
교육실천부문: 김승국(단국대학교 명예교수)
문화예술부문: 송경태(전북시각장애인도서관장)
인식개선방송언론부문: 에이블뉴스 / 특별상: 경기도 성남시

제9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7년)

정책개선부문: 장애인차별금지법제정추진연대
생활실천부문: 신정순(한국뇌성마비복지협회장) / 현대·기아자동차그룹(대표 정몽구)
교육실천부문: 박성수(강원명진학교 교사)
방송프로그램부문: SBS 'SOS 24'

제8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6년)

정책개선부문: 공익변호사그룹 공감
생활실천부문: 제라딘라이안(명도복지관 관장)
교육실천부문: 삼성화재해상보험주식회사(사장 황태선)
문화예술부문: 솟대문학(발행인 방귀희)
방송프로그램부문: KBS라디오 '내일은푸른하늘' (주미영 PD)

제7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5년)

정책개선부문: 한국농아인협회(회장 변승일)
교육실천부문: 법무부 대전의료소년원(원장 고영종)
문화예술부문: 정윤철(영화 말아톤 감독)
방송프로그램부문: 금성찬(EBS 죽마고우PD)
생활실천부문: 원주시장애인종합복지관 서미혜(Margaret Jean Storey)관장

제6회 한국장애인인권상 시상식(2004년)

개인부문: 안영회(월간 아름다운 손짓 편집인) / 김정권(대구대학교 명예교수)
단체부문: 장애인교육권연대(대표 김경애 외 6인)

단체명 :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   주소 : (0723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22(여의도동) 이룸센터 4층
전화 : 02-783-0067   |   팩스 : 02-783-0069   |   이메일 : mail@kodaf.kr
Copyrightⓒ 2017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All Rights Reserved. Supported by 푸른아이티.